[이슈+] 중동 지역 확전 우려…중동발 '오일쇼크' 전망은<br /><br /><br />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무력 충돌 양상이 극단으로 치달으면서 안정을 찾아가던 세계 경제에 다시 경고등이 켜졌습니다.<br /><br />시장에선 금을 비롯한 안전자산에 수요가 몰리면서 증시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무엇일지,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속 간신히 버티던 세계 경제에 다시 먹구름이 드리워진 모습입니다. 일단, 이스라엘과 하마스 충돌에 국제유가가 급등하기도 했죠?<br /><br /> 걱정인 건, 전쟁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. 이러다 미국과 이란 사이의 첨예한 대립으로까지 확전하게 되면 과거의 오일쇼크가 재연될 가능성까지 있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특히나 국제유가의 변동 폭이 커질수록 원유 중동 의존도가 60%에 달하는 우리로선, 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을 텐데요. 당장은 영향이 제한적이지만 이미 물가 부담이 큰 상황에서 악영향을 받지 않을까, 이 점이 걱정입니다?<br /><br /> 이런 상황에서 안전자산인 달러화와 금도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데요. 금이나 달러 같은 안전자산으로의 투자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특히 우리 경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큰 부분 중에 하나가 바로 미국인데요. 유가 상승이 과연 조금씩 내려오고 있던 미국의 인플레이션 기조를 다시 밀어 올릴지, 이 점도 주목됩니다.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 한미 금리 차가 오랫동안 벌어져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추가 인상으로까지 간다면 우리도 추가 금리 인상을 해야 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올 수 있는 것 아닌가요?<br /><br /> 한국은행 금통위로선 상당히 복잡한 고차방정식을 풀게 된 셈인데요. 오는 19일과 11월 30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앞두고 과연 어떤 선택을 하는 게 좋을까요?<br /><br /> 이런 상황에서 국제통화기금이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대폭 상향 조정했습니다. IMF의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는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